당뇨

정의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 혹은 작용에 문제가 생겨 혈당이 높은 상태로 조절이 되지 않아 여러 합병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당뇨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혈당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혈당 수치는 식이, 신체 활동 상태등에 의한
생리적인 변화가 커서 당뇨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공복 상태에서 채혈해야 한다.

당뇨를 치료받는 환자에게 발생하는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혈당 수치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시점에서 측정하는 혈당 수치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변동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혈당 조절 추이를 파악할 목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가 당화혈색소(HbA1c)이다. 당화혈색소는 적혈구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혈색소에 당이 결합된 형태로, 혈당이 높게 유지되었을 경우에 당화혈색소 수치도 높아진다. 당화혈색소는 2~4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하므로 장기간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단, 당화할색소는 당뇨의 진단에는 사용 할 수 없다.

진단

공복 혈당(fasting blood sugar, FBS)-8시간 이상 공복 후 혈당을 측정한다.
당화혈색소(HbA1c)

검사주기

당뇨를 진단받고 인슐린 치료 중인 환자는 가정에서 간이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매일 혈당 조절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당화혈색소 검사를 하여야 하는데 혈당 조절이 잘 되고 있다면 6개월, 조절이 잘 안 되거나
치료 변경, 당뇨성 임신 등의 상황에서는 3개월마다 검사를 한다.
임신성 당뇨의 위험도가 중등도 이상인 경우, 임신 24~28주 사이에 선별 검사 또는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결과

당뇨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 세가지 중 한 가지를 만족하면 진단할 수 있다. 양성이면 다른 날에 다시 검사하여 확인한다.

  • 01. 당뇨의 전형적 증상(다뇨, 다식, 다갈, 원인을 알 수 없는 체중 감소)이 있으면서 혈당수치가 200mg/dL 이상
  • 02. 공복 혈당 농도가 126mg/dL 이상
  • 03. 당부하 검사에서 부하 2시간 후 혈당 농도(PP2, 2 hrs post-prasma glucose level)가 200mg/dL 이상

당뇨 치료 중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평균 혈당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당화혈색소 수치에 따른 평균 혈당 농도는 표와 같다.

당뇨 결과
당화혈색소(%) 평균 혈당(mg/dL)
5 97
6 126
7 154
8 183
9 212
10 240
11 269
12 298
close
확인

글 작성시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